당선 소감 / 누군가에겐 위로가 되는 떳떳한 시를 쓰다
창고에 수북한 원고들, 창고 벽마다 겨울이 두텁다. 내부에서 쌓은 벽을 허물었으나 외부에서 생긴 벽은 도무지 재질을 알 수 없다.
그때마다 나는 깃을 손질하듯 시를 어루만진다.
글자에게도 혼이 있어 누군가는 위로가 되고 치유가 될 것이라 믿는다. 공대를 졸업했고, 흔한 문학회 한 곳 가입하지 않았으니,
‘삼겹살’이라고 불리는 학연, 지연, 혈연 이 세 가지와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나의 비기(?器)다. 고등학교 때 받은
숙제를 뒤늦게 서울신문에 제출했다. 늦은 숙제를 검사해 주신 정호승, 나희덕 두 분 선생님께 감사를 드린다.
반짝이는 표면에는 허상이 있다. 질소가 가득한 것은 과자뿐만이 아니다.
소망 하나 있다면, ‘삼겹살’과 상관없이 좋은 작품을 쓰는 시인들이 시만 써도 먹고살 수 있으면 참 좋겠다.
내세울 것 없는 삶이지만 시 하나만큼은 떳떳하다.
▲1967년 대전 출생 ▲충남대 기계설계공학 전공 ▲현 소속 M2-9
심사평 / 죽음의 사건을 환기하며 시대의 음화 그려내
사회 전체가 죽음의 사건들에 침잠된 탓인지 올해 투고작들은 전반적으로 어둡고 무거운 느낌이었다.
몽환적이고 묵시록적인 분위기가 감도는 작품들도 많았다.
이 죽음의 시대에 시는 현실적인 응전이나 전망을 보여주기보다는 그 내상(內傷)을 깊이 앓으며 치러내는 제의적 행위에 가까운 것일까.
그러나 이런 현상이 한편으로는 죽음 앞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이나 패배의식의 반영으로 보이기도 한다.
당선작인 최은묵의 ‘키워드’ 역시 ‘죽은 우물’을 중심으로 우리 시대의 음화(陰畵)를 그려내고 있다. 이미지가 지나치게 모호해서
소통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고도의 암시성은 시에 있어서 결함보다는 장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시는 세월호를 비롯해 죽음의 사건들을 환기하면서 그것을 상징화된 제의로 감싸안는다. 나머지 시들에서도 어딘가 깨지고
부서지고 불구화되고 불모화된 존재들이 그려내는 고통과 폐허의 풍경은 하나의 세계를 이루었다고 할 만하다.
당선작과 함께 마지막까지 고민했던 작품은 서진배의 ‘고립한다’였다. 이 시는 ‘고립’에 대한 사유를 ‘벽’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밀고나가 개성적인 존재론에 이르고 있는데, 특히 ‘고립되다’의 수동성을 ‘고립하다’의 능동성으로 전환해내는 인식의 힘이 좋았다.
하지만 산문적인 어투나 언어의 긴장을 잃어버린 대목들이 눈에 띄고 나머지 작품의 밀도가 뒷받침되지 못했다.
이 밖에도 유니크한 발상과 탄력적인 리듬을 보여준 김창훈의 ‘스핑크스의 그림자’, 대상의 기미를 섬세하게 알아차리고
그것을 감각적으로 잘 풀어낸 이정오의 ‘멀다’ 등도 좋게 읽었다. 당선자에게는 진심 어린 축하를, 나머지 세 분에게는 격려와 기대의 마음을 전한다.
'이야기舍廊 > 詩와 글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에게 시는 왜 필요한가 / 이문재 (0) | 2015.02.18 |
---|---|
일 포스티노 속의 메타포 (0) | 2015.02.14 |
정희성 시인 대담 /시인은 평화주의자, 낭만주의자 (0) | 2014.12.23 |
물의 시학 / 현대시에 구현된 물의 상징적 의미들 / 송 기 한 (0) | 2014.12.16 |
“시는 혁명, 정신혁명 일으킬 시 너무 드물어” (0) | 201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