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觀偈 불교에서는 밥 먹기 전에 다음과 같은‘오관계(五觀偈)’를 깊이 생각하도록 하고 있다. ‘ 이 음식이 어디서 왔는가. 내 덕행으로 받기가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욕심 버리고, 육신을 지탱하는 약으로 알아 깨달음을 이루고자 공양을 받습니다.’ 기독교 식으로 바꾸면 이렇게 될려나? 이 음식을 주신..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2.20
나주 사투리 게미란 '깊고 은근한 음식맛' 내지 음식 에 녹아있는 독특한 맛 이라는 뜻이다. ' 전남 나주방언의 몇 특성-최형기 (원광대학교) 이 분 이야기에 나도 동감하는 부분이 있으니 즉 나주 말에서는 ; 1. 에와 애를 구별하지 못한다. 2. 에가 이로 바뀐다 셋:째→시:째 제:사→지:세 헤어지다→히어지다 3. 어와..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2.12
떨켜 활엽수들이 겨울을 맞아 한파를 차단하고 여린 잎을 보호하기 위해 잎을 낙엽으로 떨어 뜨릴 때 만드는 코르크 재질의 마감. 떨켜가 완성되면 잎자루는 가지에서 떨어져 나가 낙엽이 되고 가지는 코르크 재질로 바깥으로 노출된 영양분 통로 등을 막아 추위 등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2.01
회개 神을 생각하면 罪가 앞선다. 되돌아보면 기억 속에 선명한 罪만해도 이루 세기가 힘들다. 더는 없나? 해도 불현듯 떠오르는 罪의 순간들.. 내 罪를 다 기억해내야만 아마 神을 만날 수 있을 것같다.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1.13
세인트루이스의 흰고래 세인트루이스, 미주리와 미시시피가 만나는 호수에 사는 흰고래는 뱃속에 거룩한 도시의 치부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1.09
서민 서민이란 정치에서 가장 먼 삶이다. 거기에는 밥 옷 그리고 제 자식밖에 없다. 미래도 없다. 오직 오늘이 있고 내일도 오늘에 속할 따름이다. 나는 서민이 아주 싫다. --- 고은의 일기 <바람의 기록>중에서 --- 고은이 아주 싫어하는 서민.. 나는 그리고 내 곁의 우리는 서민이다. 밥, 옷(?), 그리고 제 ..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0.31
Untouchable 힌두교를 기반으로 한 인도에는 우리가 잘 아는 카스트제도(Caste System)가 있다.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로 이루어진 네개의 계급이 그것이다. 근데 우리가 모르는 계급이 하나 더 있다. 그것은 "Out of caste"라고 하는 Untouchable들, "不可觸 賤民" 계급이다. 교육을 위해 학교를 지으면 상위 계급..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0.29
윤동주와 이상 윤동주는 그의 옥사가 詩다. 정작 그의 詩는 청소년 수준이다. 노년의 것이 있어야 했다. 그런데 李想은 애초부터 노년이었다. 李想이라는 현대성은 사실은 老衰에 있다는 역설을 아는 자 누구냐. 고은의 <바람의 기록>중에서...... 이야기舍廊/짤막 의미와 새 어휘 2007.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