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舍廊/詩 읽기

<풀잎> 강은교

취몽인 2011. 2. 21. 15:43

 

 

 

 

 

 

 

우리가 물이되어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서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우르르 비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 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된 뼈 하나가

세상에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리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푸시시 불 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詩를 쓴답시고 하면서 제대로 외는 시 한 편이 없었다.

강은교 시인의 오래된 그러나 소중한 시집을 읽다가 전부터 좋아했던 詩 한 편을 외우기로 맘 먹었다.

퇴근길 남태령을 넘으며 며칠을 외웠다. 그런데 여기 옮겨 쓰려니 또 헷갈린다.

결국 인터넷에서 다른 사람이 적어 놓은 것을 복사해다가 붙였다. 이 머리로 뭘 할 수 있을까 싶다.

 

예순이 넘고 일흔을 바라보는 강은교 시인..

그녀의 신인 시절 詩들이 담긴 시집 '풀잎'을 손에 넣은 건 기쁜 일이다. 그것도 중고책으로..

 

시인의 詩들은 슬프고 허무하다. 모래와 바람과 하늘과 물 그리고 무덤까지 슬프게 흐른다.

이해 못할 부분도 많다. 하지만 이해 하지 못해도 애잔하다. 쓸쓸하다. 마음이 무거워진다.

 

詩란 이렇게 읽는 이의 마음을 흔드는 것이어야하거늘 내 詩는 고작 나 하나도 제대로 흔들지 못한다.

나는 아마도 죽을 때까지 제대로 된 詩人은 되지 못할 듯하다.

 

 

 

 

 

 

  

 

'이야기舍廊 > 詩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 문학 2011. 3월>  (0) 2011.03.07
<달과 자유> 정지용  (0) 2011.02.21
<반달곰에게> 김광규  (0) 2011.02.21
<우리들의 양식> 이성부  (0) 2011.02.21
<우리나라 풀이름 외기> 송수권  (0) 2011.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