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반
채색이 흐린 무늬가 손등으로 번졌지만
아직은 섭생이 내밀할 거라는 착각?
꽃이라 여기지 말자, 목소리도 이젠
탁해질 때가 되었다. 목둘레의
간반이나 볼 언저리 검버섯
어느 날 문득 안 보이던 것들이 보여서
드디어 목적지에 다가섰다는 생각,
오래오래 걸어와 부은 발등에도
그늘은 얹혀 있다, 저승꽃이라 하지 않고
산책길에 덮어쓴 낙엽 같은 것이라고,
문을 여는 손잡이로 맺히는
저 꽃을 우리는 간반이라 한다
악력이 예전 같지 않아서
끝내 쥐여지지 않는 다짐이라면
붙잡은 것들 놓아 보내야 하리
닫히는 꽃이여, 손잡이가 눈앞에 있다
2018년. 문학과지성사
'이야기舍廊 > 詩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 금산 / 이성복 (0) | 2020.06.11 |
---|---|
그리운 바다 성산포 / 이생진 (0) | 2020.06.10 |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 이원하 (0) | 2020.06.02 |
현대문학 6월호 (0) | 2020.06.02 |
불화하는 말들 /이성복 (0) | 202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