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의 문제는
예수의 십자가 사건과 부활 이후 제도화 된 초대교회가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케리그마복음이 역사적 예수의 감동적인 삶(말씀과 행위)에
무관심하거나 그것에 대해 무시하면서 문제는 꼬이기 시작하였다
이것이 저자가 이 책에서 일관되게 주장하는 문제의 출발이다.
진보주의 신학자로서 행동하는 사회학자로서 저자의 행보는
언제나 약한자를 위한 정의의 실천을 지향해 왔었다.
대학시절 당시 금서였던 <민중과 지식인> 이후 처음 읽는 저자의 책이
마침 기독교가 개독교가 되어 있는 현실에서 공론화되고 있는
기독교의 자기 반성을 이야기할 수 있는 스스로의 논리를 다듬는 기회로 삼고 싶다.
저자는 책 머리 수난기간에 예수에게 쓴 사과 편지를 통해
사과와 통회마저도 '부활의 그리스도 능력이 절대로 필요함'을 고백하고 있다.
나 역시 저자가 제시하는 깨달음을 위해서는 예수의 능력이 필요함을 고백한다.
................................................................................................................................
I. 팔이 밖으로 굽으시는 하나님
- 초대 교회의 삶을 통해 나타난 기독교의 정체성은
팔이 안으로만 굽는다고 믿었던 유대 율법주의를 극복함으로서 비로소 확립되었습니다.
- 예수의 증인으로 산다는 것은 어둠과 절망, 억압과 착취, 교만과 독선, 탐욕과 이기심에
사로 잡힌 세력으로부터 고통 당하는 사람들에게 희망과 자유, 겸손과 인내, 사랑과 평화를
증거하고 함께 실천해 나가는 일입니다.
- 강자가 약자의 주식을 먹어야 비로소 둘 간의 관계가 아름답게 변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존재의 피를 흘리기까지 하면서 자기 배를 채우는 강자의 삶을
질적으로 완전히 바꿔야 한다는 명령입니다.
II. 예수 없는 예수 교회
- 예수의 존재 자체는 온통 남을 위한 존재이다.
- 십자가 처형이 없어진 오늘의 상황에서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육체적 고난보다는 오히려
값싼 승리주의자 메시아의 도래를 바라는 탐욕적 기대를 철저히 비워내는 아픔을 뜻한다.
III. 신앙, 그 감동의 역설
- 사랑과 믿음과 소망의 관계.. 사랑하면 저절로 믿고 싶어 집니다..
- "나는 길이다."라는 예수의 고백에는 나를 길처럼 밟고 가라는 뜻이 담겨있다.
- 자기 비움은 끊임없이 자기 속에서 충동하는 탐욕과 독선의 힘을 비워내는 일.
IV. 우아한 패배, 참 평화의 길
- 경쟁에서 지는 기쁨을 누리는 삶이 비움의 삶이다.
- 가장 어리석고 효과없는 대응은 공격적인 언어에 더욱 공격적으로 맞대결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증오의 회오리 바람이 거칠게 불게 되어 있습니다. 결국 둘다 패하는 것입니다.
- 사랑으로 함께 아파한다. 고로 하나님처럼 거룩해 진다.
잘 패하는 것.. 그 겸손의 길을 확장해야할 때인 것 같습니다
'이야기舍廊 > 책과 문화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바닥 안의 우주> 마티유리카르, 트린 주안 투안 (0) | 2009.10.16 |
---|---|
이병률 <끌림> (0) | 2009.10.09 |
D. 본회퍼 <그리스도論> (0) | 2009.09.30 |
이종성 <信仰과 神學> (0) | 2009.09.28 |
최규창 <한국기독교시인론> (0) | 2009.09.28 |